Published inLAB2050·Jul 5더 나은 세상을 위한 공론장 혁신, 어떻게 이룰까?<세상을 바꾸는 공론장은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 진단과 대안> 포럼 후기 — 김재경 LAB2050 연구원 1. 포럼 후기 — 여섯 전문가에게 듣는 한국 사회 공론장의 문제와 대안 세상에 대한 평가는 사람마다 천차만별이겠지만, 적어도 ‘문제가 많다’는 데에는 대부분 동의할 것이다. 하지만 그 문제들은 제대로 해결될 …Lab205010 min readLab205010 min read
Published inLAB2050·Jun 30AI 시대, 더 놀고, 더 사랑하고, 더 배우라A.I.C.E. 세미나 : AI시대에 인간에게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가 - 반가운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1. 인공지능과 인간의 상식 인공지능을 잘 활용하고 더 나은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미래의 우리는 어떤 역량을 기르고 활용해야 하는가? 그런데 인공지능이 너무 빠른 속도로 발전해 모든 영역에서 인간지능을 뛰어넘어 버리면 이런 질문 자체도 의미가 없다. 특히 일과 직업의 영역에서 인공지능이 인간을 뛰어넘는다면 인간이 역량을 기른다고 해도 인간 …Lab205014 min readLab205014 min read
Published inLAB2050·Jun 30생성형 AI, 어디까지 왔는가 (2)생성형 AI의 역량과 인간과의 충돌A.I.C.E. 세미나 : AI시대에 인간에게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가 — 김재경 LAB2050 연구원 — 위 영상은 2023년 6월 13일에 LAB2050이 개최하였던 ‘AI시대에 인간에게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가’세미나에서 발표의 인트로로 사용되었다. 나는 기존에 영상 제작을 따로 공부하거나 배워본 적이 없는데도, 사람 얼굴에서 목소리에 맞게 입까지 움직이는 영상을 40분만에 만들 수 있었다. 어떻게 가능했을까? 앞서 …Lab205010 min readLab205010 min read
Published inLAB2050·Jun 28생성형 AI, 어디까지 왔는가 (1)기본 개념과 개발 현황A.I.C.E. 세미나 : AI시대에 인간에게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가 — 김재경 LAB2050 연구원 — 이 글은 2023년 6월 27일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AI는 정말 위험한가? 전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단 두 달만에 1억명의 유저를 모은 ChatGPT의 등장을 필두로 ‘AI 시대’가 막을 열었다. ChatGPT를 비롯한 여러 생성형 AI는 놀라울 정도로 높은 수준의 텍스트나 이미지 등을 생성하며 인간이 여러 …Lab205010 min readLab205010 min read
Published inLAB2050·May 5윤석열 대통령님, 자유가 중요하다면서요?[IDEA2050_050]김재경 LAB2050 연구원 — 윤석열 대통령은 유독 ‘자유’를 많이 강조해왔다. 대통령 취임사에서도 자유를 35번 외쳤고, 4월 28일 하버드대 연설은 제목부터 ‘자유를 향한 새로운 여정(Pioneering a New Freedom Trail)’이다. ‘자유’라는 가치는 정말 중요하지만, 그저 외치는 것만으로 자유가 증진되지는 않는다. 과연 …Freedom10 min readFreedom10 min read
Published inLAB2050·Apr 28시민사회와 AI의 첫 만남A.I.C.E. 포럼 후기 — 김재경 LAB2050 연구원 — 1억 명의 유저. 대한민국 인구수의 약 2배의 유저를 특정 서비스가 모으기란 쉽지 않다. 유명한 글로벌 서비스인 인스타그램이 1억명의 유저를 모으는 데 30개월, 틱톡이 1억명을 모으는 데에는 9개월의 시간이 걸렸다. 그렇다면 생성형 AI 서비스인 ChatGPT는 1억명의 유저를 모으는데 얼마나 걸렸을까? 놀랍 …Aice18 min readAice18 min read
Published inLAB2050·Apr 28디지털 공론장을 만드는 집단지성과 인공지능[A.I.C.E 포럼] 시민사회 분야 — 사회적협동조합 빠띠 초거대인공지능 시대의 초입, ‘인공지능은 앞으로 무엇을 대체할까?’를 놓고 많은 사람들이 의견을 쏟아낸다. 기회로 여기든, 위기로 여기든 변화가 일어난다는 전망에 누구나 동의한다. 당장은 인간의 노동 중 대체되거나 사라질 것들을 각자 예측하지만, 한켠에선 …Aice8 min readAice8 min read
Published inLAB2050·Apr 28차별과 편견, 혐오에서 안전한 AI는 어떻게 만들까?[A.I.C.E 포럼] 시민사회 분야 — 정치하는엄마들 AI가 가진 흔한 이미지는 감정에 치우치지 않는 공정한 모습이다. 하지만 AI가 인간보다 더 차별과 편견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AI는 기존의 방대한 데이터를 통해 학습한다. 데이터는 과거 인간이 생각했던 것에서 온다. AI가 가진 편견은 인간이 주입한 …Search6 min readSearch6 min read
Published inLAB2050·Apr 28중요한 것은 증발하지 않는 마음[A.I.C.E 포럼] 시민사회 분야 — 계단뿌셔클럽 / 이대호 계단뿌셔클럽 공동대표 — “인터넷의 혜택은 그 잠재력을 훼손시키는 독점기업들이 대부분 누리게 되었습니다. 지금 우리는 과거의 실수를 바로잡고, 기술이 우리의 가장 높은 이상을 격하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구체화하고 강화시켜주는 새로운 미래를 건설할 수 있는 기회를 마주하고 있습니다. 모든 사회활동가, 예술가, 기술자, 시민, 정책입 …Lab20506 min readLab20506 min read
Published inLAB2050·Nov 23, 2022[취임인사]LAB2050 신임대표 윤형중입니다안녕하세요. LAB2050의 신임 대표 윤형중입니다. 제 소개부터 하겠습니다. 저는 언론인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했고, 2년 6개월 전까진 LAB2050의 연구원이었으며 최근까지 독립 정책연구자였습니다. 조금씩 다른 일을 해온 것처럼 보이지만, 지향은 똑같았습니다. 바로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진단하고 대안을 만드는 일입 …Lab2050notice6 min readLab2050notice6 min read